리멤버
제.안.이.가. : 이직 시 고려해야할 점? (1)
안녕하십니까, 연일 업무에 노고가 많으십니다. 이번 4기 인플루언서로 인사드리게된 안전보건 기획/운영 업무, 사고조사, 소방 선임, PSM, 해외프로젝트 안전관리 등 안전 테두리 안에서 "안전무늬"에 손가락만 얹어본 곽종범 입니다. 앞으로 "제조업 안전관리자의 이직 가이드북" - 제.안.이.가.를 연재하며 소통하고자 합니다. 포커스는 "안전관리자" 직무에 맞춰져 있음을 알려드리니, 미리 양해바랍니다. 중간중간 사투리는 귀엽게 봐주세요. 알았지예? 그럼 많.관.부.🫡 이직시 고려해야할 점 (1) - 특장점(特長點)이 뭐꼬? 1. 기(起) - 왜 이직할라카노? 각자의 이유가 있을 것 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생각해보자구요. 왜 이직하시려고 하세요? 안전관리자의 이직동기라고 크게 특별할 건 없지만, 안전관리자에 포커스를 맞춘다면 아래와 같지 않을까요? 1) 현 회사의 시스템보다 선진화된 시스템에서 안전관리를 경험해보고 싶다. 2) 총무팀 혹은 시설관리팀 소속의 상사와의 갈등 3) 현장에서 관리감독자의 협조가 없고 생산직원의 안전작업 미준수 등의 갈등 4) 과도한 업무 로드 5) 사고, 재해를 경험한 이후의 정신적 충격 2. 승(承) - 그래서 어디갈라꼬? 보통의 경우, 대기업 혹은 외국계에 포커스를 맞추지 않으신가요? 예, 저를 비롯한 제 주변 얘기 입니다. 위에서 다루었듯이 이직동기가 발생했다면 우리는 필요합니다. 뭐가? 어디를 갈지. 1) 시기가 맞는 대기업 공고? 2) 열망하던 기업에서 우연찮게 타이밍이 맞아서 뜬 공고? 3) 헤드헌터가 불현듯 연락와서 자칭 "오퍼"라고 보내는 공고? 다 좋다고 봅니다. 타이밍 좋으면? 땡큐지예. 그런데, 우리가 지원했을 때 채용프로세스를 일사천리로 다 통과하면 정말 좋겠지만.. 아닌 사람(저 ㅠ)도 있잖아요. 그럼 무엇이 필요할까요? 3. 전(轉) - 너 자신을 알라 (Feat. 테스햄) 내가 소위 "럭키가이!!!!!"가 아니면 이직 시 상당한 업그레이드로 옮기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채용공고 내 Job Description과 비교가 필요합니다. 뭐를? 현재의 내 업무와 유사하거나 혹은 내가 경험을 했는지를. 내 스펙(예시) - 안전공학 전공 아님 - 산업안전기사 - PSM 대상사업장 안전관리자 법정 선임 4년 - PSM 등급심사 경험 2회 중 등급상향 경험 있음 (M-에서 M+) - 전사 안전보건 연간계획 수립 경험 예시에 나온 저 스펙에서의 특장점(特長點)은 무엇인가요? 4. 결(結) -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예, 맞습니다. 위의 예시에서 저는 PSM 직무를 수행하며 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PSM 대상사업장을 포커스로 내 경험, 직무를 수행하며 얻은 인사이트를 기준으로 Job Description과 비교해야지요. 위의 간단한 예시로 살펴봤지만, 우리 안전 밥 먹는 사람은 이직 시 반드시 상위 3가지를 Base로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왜 이직하려고 하는지? 2) 어디를 목표로 하시는지? 3) 내 특장점이 무엇이고 이와 부합하는 공고는 무엇인지? 특히 3번, 특장점은 여러분 만의 경험이고 인사이트 입니다. 동일한 법률 아래 천차만별의 경험을 가지고 계시고, 다양한 업종에서 여러분 만의 안전관리 노하우가 있을 것 입니다. 따라서, 꼭 생각해보고 이직할 회사를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강조하고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니만의 특장점(特長點)은 뭐꼬?"
See this content immediately after install